내년 대규모 손실이 예상되는 증권 상품. <br /> <br />ELS라고 불리는, 주가연계증권 상품입니다. <br /> <br />홍콩H지수를 추종하는 ELS니까, 이 지수의 등락에 따라서 수익이나 손실이 결정되는 거죠. <br /> <br />좀 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, 원금 보장 상품과 원금 비보장 상품으로 나뉘는데요, <br /> <br />원금 보장 상품은 보통 위험은 낮지만, 수익률이 높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고요, 여러 제약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이 원금 비보장 상품, 원금 보장과는 정반대죠. <br /> <br />수익률 크고요, 달성 조건도 그럴싸한데 위험도가 상당히 높은 '하이리스크 하이리턴' 상품입니다. <br /> <br />ELS 상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어려운 용어들이 많은데요, <br /> <br />쉽게 말하자면, 만기 때까지 일정한 범위 안에서 지수가 머무르거나 이 수익 기준의 조건을 넘기게 되면 원금과 미리 약속한 수익을 지급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다만 여기 이 낙인 배리어, 즉 손실 발생 기준선 밑으로 떨어지면 원금 손실의 위험이 아주 커지는 구조인데요, <br /> <br />전문가들도 구조를 이해가 어렵다는 말이 나오고 있는 홍콩H지수 ELS 상품 가입자들의 수조 원대 손실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진 게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그럼 H지수 흐름이 어떻길래 금융당국이 화들짝 놀란 걸까요? <br /> <br />홍콩H지수 3년 동안의 흐름입니다. <br /> <br />ELS 상품의 만기가 보통 3년임을 감안했을 때, 문제가 되는 건 지금 가장 고점으로 보이는 이 2021년 초반에 판매된 상품입니다. <br /> <br />3년이니까, 내년 초반이면 만기가 도래하겠죠. <br /> <br />손실 기준이 보통 지수 시작점의 40-50%로 설정되는데요, <br /> <br />지난해 말, 떨어진 지점 보이시죠. <br /> <br />이때 최대 폭락 지수가 4919였습니다. <br /> <br />5000이 채 안 되죠. <br /> <br />이 때 손실 기준선을 넘은 상품이 상당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유일하게 희망을 걸어볼 지점은 2024년 만기 전까지 이 홍콩H지수가 크게 반등하는 건데요, 전망이 밝지는 않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본토 기업들의 주식으로 구성된 홍콩H지수인데, 중국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미중 갈등 문제, 중국 부동산 악재, 경기침체 등 반등의 기미가 딱히 보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위험성이 큰 상품을 충분한 설명 없이 판매하는 '불완전판매'에 대한 논란도 덩달아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요, <br /> <br />과거 라임과 옵티머스 사태 등을 경험하고서도 또다시 이러한 위험에 직면해있다는 거죠. <br /> <br />금융당국이 금융사와 증권사 대상 전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경철 (nkc800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12716403812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